*Ethernet*
이더넷이란.. 네트워킹의 한 방식이다. 즉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이라 생각을 하면 되고 이더넷의 가장 큰 특징은 1-persistent CSMA/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는 점이다.
네트워크를 만드는 방식이란, 이더넷 말고도 토큰링, FDDI, ATM 방식등 여러가지가 있고 이 방식에 따라 랜카드부터 네트워크 장비들을 다르게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킹의 방식에 대해 공부해야 한다. 대부분의 인터넷 방식이 이더넷 방식이다.
이더넷 개념
- 이더넷은 LAN(Local Area Network)를 위해 개발된 근거리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술로 IEEE 802.3에 표준으로 정의 되어있다.
-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 또는 비 차폐 연선을 사용하고 버스 형식으로 망을 구성한다.
- 가장 보편적인 시스템으로 10BASE-T, 100BAST-T 등이 있다.
이더넷의 장점
-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성능이 우수하다.
-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관리가 쉽다.
-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하다.
이더넷의 단점
- 네트워크 사용 시에 신호 때문에 충돌이 발생한다.
- 충돌이 발생하면 네트워크에서 지연이 발생한다.
-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면 충돌도 계속적으로 증가한다.
IEEE Standards
정의
- 다양한 제조사들의 장비들 간에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규약이다. 여기서 project 802는 LAN Protocol의 physical, data link layer의 기능들을 규약하는데 쓴다.
OSI vs IEEE Standard for LANs
정의
- Data Link layer를 LLC (logical link control) & MAC (media access control) 로 두 개로 나누었다.
- physical 에서는 신호, 배선을 규약, Data Link layer에서는 MAC, Protocol 형식 정의
IEEE에서의 Data link layer 구성요소
- Logical Link Control (LLC) 는 Flow control, Error control 을 담당
- Media Access Control (MAC) : 각 LAN에 접근방법을 정의. MAC은 구별할 수있는 고유의 번호를 줌.
Data link layer에서 MAC, LLC 거치는 과정
Ethernet evolution 과정
1.1 Standard Ethernet
Standard Ethernet에서 정의한 MAC Frame 구조
- preamble : frame 앞에 붙이는 data, bit or frame 동기화가 목표이다. 이는 사전에 약속에 의해 정해진다.
- SFD : 10101011 로 frame 의 시작점임을 알리는 구간이며 sync의 마지막 구간이다. "이 다음부터는 "진짜 frame" 이야~~" 라고 얘기하는 부분이다.
- DA : 도착하는 station의 물리적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.
- SA : Sender의 물리적 주소를 포함한다.
- PDU : Frame은 최대 1518 byte를 가진다 (밑에 설명 참조). 1518byte보다 길이가 짧다면 이 PDU는 Frame의 길이를 말하며, 만약 1536 byte 보다 크다면, PDU type이라고 얘기를 해준다.
MAC Sublayer에서 Frame의 길이
MAC Address
- 구조:
- MAC 주소는 자리마다 16진수로 이루어져있다. 따라서 16진수로 16 * 16 =256 bit , 즉 8bit, 1byte를 표현한다.
- Ethernet network 에서는 각 station마다 network interface card (NIC) 라는 LAN 카드를 가지고 있다.
- LAN 카드는 6byte의 물리적 주소를 제공한다. 우리는 이 MAC 주소로 data를 주고 받을 수 있다.
-
- MAC 주소에서 처음 byte를 담당하는 부분은 맨마지막 bit 가 0, 즉 16진수들로 표현하였을 때, 짝수라면, 이는 unicast로 특정 주소에만 전송하는 Data임을 알 수 있다. 만약 이 bit가 1이라면, 이는 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multicast임을 알 수 있다. 첫 번째 byte가 모두 1이라면, 이는 Broadcast를 해당한다.
1.2 Physical layer에서의 Ethernet
종류
- Physical layer에서는 10Base-T, F를 주로 사용한다.
원리
- Encoding, Decoding을 할 때, Manchester 기법을 사용한다.
표기법
2. Changes in the Standard
그전까지는 10Mbps로 통신을 하다가 현재 바뀌어가는 추세이다.
Bridged , Switched, Full-Duplex Ethernet 3가지 방법이 더 생겨났다. 확인해보자
2.1 Bridged Ethernet
목적, 특징
- 1. bandwidth를 올린다. 2. collision 영역을 나눈다.
- bridge를 나누면 나눌수록 collision의 영향이 서로 분산된다.
도면
- 위의 사진은 bridge가 없을 때, 있을 때를 나눈 case분류로, 분홍색 domain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구간을 말한다.
- bridge가 없을 경우에는, 충돌하는 domain들이 넓고, 서로 dependency 하다
- bridge가 있는 경우, 충돌하는 domain이 서로 independency 하므로 서로 collision이 되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.
2.2 Switched Ethernet
목적
- Bandwidth를 모두 공평하게 공유하자.
- 특징은 switch에 연결되어있으니 collision이 나더라도 독립적인 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domain에 영향이 없다.
- 단점은 switch가 망가지면 모두 Error다.
도면
-
2.3 Full-Duplex Ethernet
목적, 특징
- 10Base5, 10Base2는 half-duplex였다. 한방향통신!!
'대학원 공부 > 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twork : Network Layer : Connecting LANs (0) | 2019.12.12 |
---|---|
Network : Wireless LANs : IEEE 802.11 (0) | 2019.12.11 |
Network : Multiple Access : Channelization (0) | 2019.12.11 |
Network : Multiple Access : Controlled Access (0) | 2019.12.11 |
Network : Multiple Access : Random Access (0) | 2019.12.11 |
댓글